세월호참사(2014), 메르스(2015), 경주지진(2016), 포항지진(2017), 고성 산불(2019), 그리고 코로나19(2020~)까지…. 재난이 일상이 됐다. 재난보도는 더욱 중요해졌다. 재난주관방송사인 KBS를 향한 시선도 더욱 늘어났다. 

16일 프레스센터에서 2‧18 안전문화재단과 KBS가 주최한 안전학술 세미나에서 유홍식 중앙대 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부 교수는 “코로나19 감염병 이후 감염병 보도준칙을 만들고 선정적 보도도 전보다 줄었지만 여전히 단순중계, 불안과 공포 조장, 인권침해성 보도 등 국민기대 수준에 (감염병 보도가) 미치지 못하고 있다”며 공영방송 역할을 강조했다.  

유홍식 교수는 “언론이 확진자 발생 수에는 너무 집중하는 반면 감염병의 불확실성에 대한 과학적 정보와 예방을 위한 의학적 정보 전달은 상대적으로 부족하다”면서 “공영방송이 재난의 공론장 역할을 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그러면서 “BBC처럼 신속성보다는 정확성‧불편부당성‧투명성을 우선 고려해야 하고, 재난으로 파괴된 사회 질서 회복을 중시하는 NHK 재난보도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밝혔다. 

▲KBS 보도화면 갈무리.
▲KBS 보도화면 갈무리.

유 교수는 “현재 KBS에서 확인할 수 있는 재난 행동요령은 부족하고, KBS 재난포털 역시 정보가 별로 없다”고 지적하면서 “공영방송은 재난 상황 시 뉴스의 중계가 아닌 정보를 제공해야 한다. ‘확진자 활보’ ‘자가 격리 이탈’ ‘감염자 ○○ 방문’ 등 자극적 제목의 재난 뉴스는 자제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방송통신위원회는 지난 8월 KBS가 재난정보를 24시간 전달할 수 있도록 지상파다채널방송(MMS)을 통한 재난전문채널(9-2번) 신설 계획을 밝혔다. 현재 하루 90분 MMS와 유튜브(KBS NEWS D-Live)에 1회 시험방송을 하고 있다. ‘D-Live’ 콘텐츠를 MMS에 얹는 식이다. MMS는 유료방송가입가구는 시청할 수 없고 지상파 직접수신 가구만 시청 가능해 추후 PP채널로 진입해 IPTV에 편성되는 것 아니냐는 전망도 있다. 

김민철 KBS재난미디어센터 팀장은 “불이 났을 때 불구경시켜주는 보도가 아니라, 피해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정보,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정보를 보도하는 것이 우리의 최고 목적”이라 강조하면서 재난전문채널 성공을 위해 “일본의 웨더뉴스 방식처럼 재난데이터 수집 시스템을 화면에 실시간 노출하면서 기자-캐스터 릴레이 진행에 나선다면 고효율 프로그램 제작이 가능할 것”이라 전망했다. 

그러나 이렇게 운영해도 24시간 재난전문채널을 운영하려면 “최소 100명의 별도 인력이 필요하다”는 게 KBS측 입장이다. 유홍식 교수 또한 “인력보강 예산 없이는 재난방송 역량 강화가 어렵다”고 했다. 이와 관련 임필교 방송통신위원회 코로나19재난방송대응단 과장은 “코로나19 상황에서 예산에 대한 국민적 합의만 되면 300억~500억 지원은 어렵지 않다”고 밝혔다. 

▲KBS 사옥. ⓒKBS
▲KBS 사옥. ⓒKBS

한편 이날 토론자로 나선 이재갑 한림대 강남성심병원 감염내과 전문의는 “감염내과에서 인터뷰에 응하는 전문가가 10여명 내외다. 전문가 활용에 있어서 더욱 주의가 필요하다”면서 “전문가를 활용함에 있어 기계적 중립성은 독이 될 수 있다. 과학적 사실과 과학적이지 않은 사실이 일반인에게 같은 강도로 노출될 수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이재갑 전문의는 언론을 향해 “전문가의 전문성을 검증할 필요가 있다. 정치적 성향에 따라 과학적 사실을 왜곡하거나 연구비 수주 등 부차적 목적을 위해 자신을 홍보하려는 전문가는 활용해선 안 된다”고 당부했다. 과거 메르스 때와 달리 코로나19의 경우 전문가 발언에 ‘정파적 구별짓기’가 이뤄지며 소신 발언에 어려움이 있다고도 덧붙였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