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상반기 코로나19 사회적(물리적) 거리두기 관련 보도에서 조선일보가 한겨레에 비해 익명 취재원을 눈에 띄게 많이 활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16일 한국언론학회 가을정기학술대회에서 발표된 ‘언론사의 이념적 성향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보도 분석’ 결과다.

이날 연세대학교 커뮤니케이션연구소의 김지현 발제자에 따르면, 두 언론사가 올 1~7월 방역당국의 거리두기 보도자료 161건을 활용한 기사를 분석한 결과 조선일보는 자사 보도의 22.8%에서 익명 취재원을 활용했다. 이는 자사 보도 중 실명 취재원을 활용한 비율과 같은 수치다. 한겨레의 경우 취재원을 명시해 인용한 기사 비율은 50%, 익명 인용한 경우는 11.5%였다.

조선일보는 해당 기간 지면과 온라인을 통틀어 총 57건의 ‘거리두기 보도자료’ 관련 기사를 내놨다. 이 중 관련 27건에서 취재원의 의견이나 평가, 주장을 인용했는데, 이 중 13건에서 익명 취재원을 썼다. 다른 13건에선 실명 취재원 의견을 썼고 1건에선 취재원을 특정하지 않았다.

▲한국언론학회 2021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중계화면 갈무리
▲한국언론학회 2021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중계화면 갈무리

한겨레는 총 92건의 기사를 냈고 이 중 52건에서 취재원의 의견을 전했다. 이 중 실명 취재원만 활용한 기사는 46건, 익명 인용이 들어간 기사는 6건이었다.

즉 조선일보가 취재원 의견을 활용한 보도(27건) 가운데 익명 취재원을 활용(13건)한 비율이 약 50%, 한겨레는 11.5%(52건 중 6건)였다.

김지현 발제자는 각 매체의 인용 양상을 설명하면서 “조선일보는 전문가를 인용하는 경우 취재원이 누군지 명시했지만 시민이나 상인의 의견을 전하면서는 거의 전부 익명 처리했다. 반면 한겨레는 시민과 상인이라도 취재원을 명시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고 설명했다.

그는 “정보를 제공할 때 취재원을 명시하는 문제는 중요하고, 특히 보도자료에 대한 의견과 주장을 담는다면 더더욱 그렇다”며 “(정부 발표를) 평가할 때는 건전한 여론형성을 위해 의견을 주장한 정보원도 명확하게 제시해야 한다”고 했다.

▲한국언론학회 2021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중계화면 갈무리
▲한국언론학회 2021 가을철 정기학술대회 중계화면 갈무리

한편 보도 전반의 내용 면에서는 조선일보는 정부의 책임을 강조하는 프레임을, 한겨레는 정부나 방역당국 입장에 동조하거나 공감하는 프레임을 비교적 강하게 보였다. 조선일보 보도 중 정부의 발표를 비판하는 ‘책임 프레임’이 23.9%로 가장 많았고, 소상공인·자영업자의 반발과 시위 등을 다룬 ‘갈등 프레임’(11.9%)이 다음이었다.

한겨레의 경우 ‘거리두가 참여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설득 프레임(37.2%)과 소상공인·국민·정부 등이 겪는 어려움에 공감하는 ‘공감 프레임’(8.3%)순이었다. 김 발제자는 “조선일보와 한겨레가 각각 정부 옹호와 비판적 해석을 하고 있다는 점에서 이념 성향이 일정 부분 드러난다”고 평했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