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최대 일간지인 부산일보의 김진수 사장과 지역 건설사 대표의 유착 의혹이 불거졌으나 이를 심층 취재하는 지역 언론을 찾기 힘든 상황이다.

앞서 MBC ‘스트레이트’는 지난달 5일 ‘건설과 언론의 수상한 거래’ 편에서 부산 최대일간지인 부산일보의 김진수 사장과 부산 기반 유력 건설사 동일스위트 김은수 대표(부산일보 독자위원)의 유착 정황을 밝혔다. 김진수 사장은 김은수 대표의 제의로 사모펀드에 1억 원을 투자했다. 부산일보는 동일스위트의 개발사업에 옹호 보도를 이어왔다. 지난 12일 전국언론노조와 언론노조 부산일보 지부, 언론공공성지키기연대 등 언론계와 시민사회는 관련 의혹을 경찰에 수사 의뢰했다.

▲ 윤창현 전국언론노조 위원장이 12일 오전 부산경찰서에 김진수 부산일보 사장에 대해 수사해달라는 수사 의뢰서를 제출했다. 사진=전국언론노조.
▲ 윤창현 전국언론노조 위원장이 12일 오전 부산경찰서에 김진수 부산일보 사장에 대해 수사해달라는 수사 의뢰서를 제출했다. 사진=전국언론노조.

부산 민주언론시민연합 모니터 결과 부산일보는 관련 보도를 한 차례도 하지 않았다. 부산 민언련은 “부산일보는 자사 사장뿐 아니라 미래전략사업단장이 건설사 대표와 투자공동체를 형성했고,공교롭게도 해당 건설사 추진 사업에 우호적 논조로 일관해 권력 감시를 방기한데 대해 단 한 차례도 보도하지 않았다”며 “경찰에 김진수 부산일보 사장 수사를 의뢰한 사건도 역시 보도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부산일보는 논란의 당사자인 동일스위트 김은수 대표에 대한 긍정적인 보도를 내보내기도 했다. 부산일보는 ‘사람과 이웃’면을 통해  9월 29일 김은수 대표가 관광의 날 행사에서 국무총리 표창을 받은 소식을 보도했다. 9월 30일에는 온라인 기사를 통해 “동종업체들 대부분이 구조조정이나 무급휴직을 통해 손실을 줄이며 생존을 위해 몸부림 치고 있다”면서 “김은수 대표는 부친인 김종각 회장의 제안에 따라 (중략) 정상적인 고용을 유지”하고 있다며 동일스위트를 긍정적으로 다뤘다.

부산 민언련은 “당사자인 부산일보는 부산일보 김진수 사장과 동일스위트 김은수 대표와 관련한 문제는 언급하지 않고, 지국장을 격려하거나 국무총리 표창장을 받는 모습만을 조명해 언론의 사회적 책무를 또 한 번 내팽개쳤다”고 비판했다.

10월12일 언론 노동자단체와 시민단체가 기자회견을 열고 수사 의뢰서를 제출하면서 다른 지역 주요 언론이 관심을 보이기 시작했다.

“‘1억 사모펀드 투자 의혹’ 부산일보 사장 수사의뢰”(KBS부산) “‘건설사 특혜 의혹’ 대표이사 수사의뢰”(부산MBC) “언론노조, 부산일보 사장 수사 의뢰”(국제신문) 등이다.

부산 민언련은 부산MBC와 KBS부산이 모두 단신으로 다뤘다고 전하면서도 “같은 단신 소식이었지만 KBS부산은 44초 길이로 부산일보 사장과 건설업체 간 유착 의혹을 설명하고 이에 대한 엄정한 수사 촉구를 위한 움직임 전달했다. 부산MBC는 20초 길이였는데, KBS부산과 비교했을 때 과도한 축약으로 기사 제목이 이번 사안을 충분히 담지 못했다”고 지적했다.

▲ 부산일보 보도 갈무리
▲ 부산일보 보도 갈무리

지역언론 보도에 관해 부산 민언련은 “9월5일 MBC 스트레이트 방송 이후엔 한 건의 보도도 없었던 데 비하면 나아졌다. 하지만 기자회견과 수사의뢰라는 단순 사건 소식으로만 전해 여전히 아쉽다”며 “지역언론도 (스트레이트처럼) 동일스위트가 부산에서 추진 중인 사업을 점검하거나 이 사업에 대한 지역민의 입장, 하다 못해 이번 의혹에 대한 지역민의 반응 등을 취재할 순 없었는지도 아쉬움이 크다”고 지적했다.

부산 민언련은 “부산일보의 독자위원회 64%가 기업인이고 부일CEO 아카데미 원우들도 지역 고위공무원, 기업인, 정치인”이라며 “지역의 유력 일간지라는 부산일보의 독자위원회와 부일CEO아카데미 그 어디에도 평범한 부산시민과 노동자 목소리가 들어설 자리는 없었다. 그렇기에 언론과 건설사의 유착 의혹을 가능케 한 구조적 문제를 조명해야 한다. 단순 발생 소식으로 전하기엔 구조적 문제가 크다”고 밝혔다.

저작권자 © 미디어오늘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